[사회과학][history(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16:31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hwp
이로서 이봉창의사 연구는 기존의 오류와 왜곡을 바로잡을 수 있었고, 본격적 연구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 나갔다. 그런데 일제 패망 후 1947년 ‘대역죄’가 폐지되면서, 대심원의 후신인 최고재판소가 ‘인권존중’의 차원에서 사건 관계자들의 자손 내지 혈육에게 재판 기록을 공개하기에 이르렀다. 국제한국연구원 최서면 원장이 혈육이 아니더라도, ‘정신적 내지 사상적 계승자’에게 그것을 공개할 것을 주장했고, 최고재판소가 전원회의를 통해 이를 받아들여 1994년 이봉창의사 의거의 재판기록이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다.
그러나 자손과 혈육이 없던 관계로, 이봉창의사의 기록은 열람이 허락되지 않았다. 일제의 ‘대歷史(역사)건’인 이봉창의사의 의거는 60여년 동안 일체의 재판 관련 기록이 공개되지 않던 상황에서, 그동안 적지 않은 오해와 왜곡이 따랐던 것이 사실이다.
당시 ‘대歷史(역사)건’은 최고 법Cause 대심원에서만 처리했으며, 철저하게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이봉창 의사 연구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해결해야할문제가 적지 않게 남아있다아 그 가운데 선결해야할 해결해야할문제 중의 하나가 신문재판기록에 대한 analysis(분석) 이라 할 수 있다아 신문 및 재판 과정에서 이봉창의사가 진술한 내용은 이봉창의사 연구에서 무엇보다 귀중한 1차적 자료(資料)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아 그런데 진술 내용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6월 27일 마지막 신문 이후 9월 30일 재판에 이…(skip)
![[사회과학][역사%20조사]%20이봉창%20조사%20보고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97%AD%EC%82%AC%20%EC%A1%B0%EC%82%AC%5D%20%EC%9D%B4%EB%B4%89%EC%B0%BD%20%EC%A1%B0%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1.gif)
![[사회과학][역사%20조사]%20이봉창%20조사%20보고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97%AD%EC%82%AC%20%EC%A1%B0%EC%82%AC%5D%20%EC%9D%B4%EB%B4%89%EC%B0%BD%20%EC%A1%B0%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2.gif)
![[사회과학][역사%20조사]%20이봉창%20조사%20보고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97%AD%EC%82%AC%20%EC%A1%B0%EC%82%AC%5D%20%EC%9D%B4%EB%B4%89%EC%B0%BD%20%EC%A1%B0%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3.gif)
![[사회과학][역사%20조사]%20이봉창%20조사%20보고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97%AD%EC%82%AC%20%EC%A1%B0%EC%82%AC%5D%20%EC%9D%B4%EB%B4%89%EC%B0%BD%20%EC%A1%B0%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4.gif)
![[사회과학][역사%20조사]%20이봉창%20조사%20보고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97%AD%EC%82%AC%20%EC%A1%B0%EC%82%AC%5D%20%EC%9D%B4%EB%B4%89%EC%B0%BD%20%EC%A1%B0%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5.gif)
![[사회과학][역사%20조사]%20이봉창%20조사%20보고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97%AD%EC%82%AC%20%EC%A1%B0%EC%82%AC%5D%20%EC%9D%B4%EB%B4%89%EC%B0%BD%20%EC%A1%B0%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6.gif)
다.[사회과학][history(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
사회과학,역사,이봉창,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과학][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hwp( 30 )
[사회과학][history(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
[사회과학][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 , [사회과학][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역사 이봉창
[歷史(역사) 조사] 이봉창 조사 보고서
목 차
1. 머리말
2. 9목차에 걸친 신문과정과 일제의 날조
3. 틀에 짜여진 재판 진행과 진실의 왜곡
4. 맺음말
1. 머리말
1932년 1월 8일 일제의 심장부인 도쿄에서 日本(일본)왕을 겨냥한, 이봉창 투탄의거의 연구는 1994년 신문조서 및 재판 기록이 발굴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신문조서 및 재판 기록을 필사한 최서면 원장이 이를 1994년 국내에 introduction했고, 2004년에는 단국대학교 동양연구소가 이봉창의사의 신문,재판기록을 영인번역해 자료(資料)집으로 발간하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