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또옙스끼 문학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09:30
본문
Download : 도스또옙스끼 문학의 이해.hwp
. 즈베르꼬프의 환송회때 있었던 일을 생각해 보기로 하
자. 화자가 <그리로>로 따라가는 중간에 했던 독백에서 알수 있듯이, 그리
고 후에도 계속 그걸 잊지 못하는 걸 봐서도 그는 자신의 행동을 자기 자신
의 주체성에 의거해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남들이 어떻게 생각할지에
만 염두를 두는 듯 하다. 물론 타인을 의식하지 않는 사
람들이 있으랴마는 화자는 타인을 의식하는 정도가 지나쳐서 남의 시선, 남
의 생각에 의해 자신의 행동을 결정짓고 그것도 모자라서 그 행동에 대한
변명을 늘어 놓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닐것이다. 그건 독자,즉 타인을 의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
가 보기에는 화자에게서 자아 정체성을 찾기란 힘든 것 같다. 그가
자기집에…(drop)





Download : 도스또옙스끼 문학의 이해.hwp( 50 )
도스또옙스끼 문학의 이해
자기 정체성
와 맞서 자기 정체성을 추구하는 인물을 창조하고자 했...
다. 화자 즉, 도스또옙스끼는 일반적이고 통일적인 세계인 그 당시 시대적 조류
자기 정체성 화자 즉, 도스또옙스끼는 일반적이고 통일적인 세계인 그 당시 시대적 조류와 맞서 자기 정체성을 추구하는 인물을 창조하고자 했... , 도스또옙스끼 문학의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자기 정체성
화자 즉, 도스또옙스끼는 일반적이고 통일적인 세계인 그 당시 시대적 조류
와 맞서 자기 정체성을 추구하는 인물을 창조하고자 했다고 한다. 그가 처한 모든 상황에서 그
가 어떻게 행동을 할 것이며 그 이유를 항시 설명(explanation)하고 있지만, 같은 상황에
서 부딪히는 두가지 행동으로 인한 결과를 맘속으로 생각할뿐 선뜻 어떠한
結論(결론)에도 도달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는 어떻게든 結論(결론)내린 행동에 대상으로하여도
항상 후회하고 있다 후회하는 것이 아니라하더라도 변명을 하고 있는 것이
다. 이렇게 자신의 내적 생각과 그것에 대한 변명을 늘
어놓는 것을 또 하나인 자신과의 융합이라고 볼수도 있다
3.지하
이 책에서는 <지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explanation)을 하고 있지는 않다. 화자는 자기
자신에 대해 끊임없이 定義(정의)하고 변명하곤 한다. 그래서 내가 보기에 이책의 화자는 자기 주체성이
부족한 듯 하다.
하지만 다시 이걸 돌려서 생각해보면 이것 자체를 자기 정체서의 구현이라
고 할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도
스또옙스끼는 `지하`라는 개념(槪念)을 상당히 심화시켜서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의 지하는 지상,지하의 물리적인 공간의 구별이 아님은 뚜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