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길준과 최광옥의 대한문전 비교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00:46본문
Download : 유길준과 최광옥의 대한문전 비교연구.hwp
`母音이라 함은 폐장으로 자하여 출하는 기식(氣息)이 성대에 진동을 받는 것인데, 그 음이 입을 열고 성을 發한즉 단순히 出하는 이유로 단순음이라고도 칭하니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등의 글자가 그것이오.
父音이라 함은 성음의 발성이 폐장으로 유출하는 기식인데 구내 제기관에 진동하여 분명한 성음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니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ㅎ, ㅈ, ㅊ, ㅋ, ㅌ, ㅍ 등의 글자가 그것이오.
子音이라 함은 부음과 모음이 합성하여 완전한 자음을 성함이니 가, 나, 다 등의 글자가 그것이라`
최광옥의 `음`에 대한 뜻매김을 볼 때,「대한문전」이전의 음운론에서는 음성을 설명(說明)함에 있어서 대체로 추상적 기술을 하고, 또「역학」의 의미를 더하는 이원론적 음성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音`을 `母音`, `父音`, `子音`으로 나누어 定義(정의)한다. 여기에서 일시적, 장시적이란 말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聲`, `音`, `韻`을 분류하여 그 뜻매김을 해 놓은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유길준과최광옥의대한문전비교연구 , 유길준과 최광옥의 대한문전 비교연구인문사회레포트 ,
- 주제1 -
{대한문전}의 두 가지 이종(최광옥 저, 유길준 저)의 내용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1. 음운에 대한 비교
1)최광옥의 ‘대한문전’에서의 음운
2)유길준의 ‘대한문전’에서의 음운
3)유,최의「대한문전」에서 어음의 몽수(蒙受)와 축약(縮約)
2. 품사 분류에 대한 비교
1)유길준과 최광옥 모두 ‘의미 기능주의’에 입각해 8개의 품사로 분류
2)8품사 분류의 대조
3)각 품사 대조
(1) 명사
(2) 대명사
(3) 동사
(4) 조동사
(5) 부사/첨부사
(6) 형용사(形容詞)
(7) 접속사(接續詞)
(8) 후사(後詞)
(9) 감동사(感動詞)
3. 문장론에 대한 비교
- 주제2 -
{대한문전}의 두 가지 책의 출판 경위와 관련된, 서로 다른 주장을 비교, 검토하라.
<유길준 옹호의 관점>
1.『대한문전』에 대한 논란
2. 김민수의 주장에 대하여
<최광옥 옹호의 근거>
주제3: {대한문전}이 국어 문법학사 상에서 갖는 의의는 어떠한가?
주제1: {대한문전}의 두 가지 이종(최광옥 저, 유길준 저)의 내용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1. 음운에 대한 비교
1)최광옥의 `대한문전`에서의 음운
최광옥은 제1편 언어론 `성음운` 편에서 `聲이라 함은 空氣의 진동으로 生하는 一切音을 칭함이오, 音이라 함은 일시적 聲을 칭함이오, 韻이라 함은 장시적 聲을 칭함이라` 라고 하였다. 다만 `韻`에 대한 언급은 이 이상 더 언급되지 않아 그것이 오늘날 `音素`에 가까운 것인지는 판단할 길이 없다. 그러나 갑오경장 뒤의 근대화기를 맞이하여 새 학문의 사조 위에 인간의 정신과학으로서의 학문 체계를 가지고 최초로 나타난 최광옥의「대한문전」에서는 홑소리에 대하여 결코 역학의 의미를 주지 않고, 오직 물리적, 생리적, 조음 음성학적 입장에서 설명(說明)을 하여 일원론적 음성학을 확립한 것이다. 이 책에서의 특징으로 `음`의 명칭이 훈민정음 창제 당시 초성과 중성으로 불렸던 것에…(省略)
설명
순서
유길준과최광옥의대한문전비교연구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유길준과 최광옥의 대한문전 비교연구






Download : 유길준과 최광옥의 대한문전 비교연구.hwp( 77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