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성 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3:50
본문
Download : 신뢰성 이론.hwp
신뢰도를 알려면 고장나지 않은 편을 관측해야 하겠지만, 반대로 고장난 부분(불신뢰도)을 관측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또 거꾸로 고장 밀도함수 f(t)를 어떤시간 t까지 적분한 면적이 불신뢰도 F(t)의 값(높이)과 같다.
dF(t) dR(t)
f(t) = ꠏꠏꠏꠏꠏꠏꠏ = - ꠏꠏꠏꠏꠏꠏꠏ ........(2)
dt dt
그런데 신뢰성에는 QC의 불량률에 상당하는 것으로 고장률이라는 척도를 자주 쓰게되며, 이것은 다음과…(skip)






2.1 신뢰도와 고장률
신뢰도는 확률로서 정의(定義)되는데, 어떤 제품의 신뢰도란 한마디로 말하면 t=0에서 쓰기 처음 한 제품의 몇 %가 그...
다. 한편 t시간까지 전체의 몇 %가 고장났는가를 나타내는 불신뢰도 F(t)는 R(t)를 1에 관해서 뒤집은 관계에 있따 왜냐하면 정상상태에 잔존하는 부분과 고장나서 비정상 상태에 빠진 부분( 이경우에 보전은 생각치 않으므로 회복하는 부분은 없는 것으로 한다)의 합은 언제나 100%, 즉 1이기 때문이다
R(t) + F(t) = 1 ........(1)
이 식은 R(t)와 F(t)사이의 상보성을 나타낸다.
한편 히스토그램의 극한으로 얻어진 고장 발생시간의 밀도함수 f(t)는 단위시간당 전체의 몇 %가 고장났는가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수학적으로는 F(t), 또는 -R(t)의 시간미분이다.
신뢰도 R(t)는 t=0에서 100%인데, 시간과 더불어 고장나는 것이 늘어서 잔존수가 감소하여 0으로 향해서 하강하는 곡선이 된다된다.설명
신뢰성 理論
Download : 신뢰성 이론.hwp( 24 )
순서
,기타,레포트
2.1 신뢰도와 고장률 신뢰도는 확률로서 정의되는데, 어떤 제품의 신뢰도란 한마디로 말하면 t=0에서 쓰기 시작한 제품의 몇 %가 그... , 신뢰성 이론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2.1 신뢰도와 고장률
신뢰도는 확률로서 定義(정의)되는데, 어떤 제품의 신뢰도란 한마디로 말하면 t=0에서 쓰기 스타트한 제품의 몇 %가 그 시점에서 고장나지 않고 있는가라는 잔존률에 해당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