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사회의 불교 건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9:22
본문
Download : 고대 사회의 불교 건축.hwp
또 광개토왕 2년 (403)에는 평양에 9사가 창건되었고 문자왕 7년(498)에는 평양 금강사가 창건되었다.
지금까지 발굴되었거나 그 터가 알려져 있는 사찰은 평양의 금강사지, 정릉사지, 광법사지, 상오리 사지, 청호리 사지, 빙명사지, 중여사지, 낙사리 사지, 암사리 사지, 평천리 사지, 대왕사지 등과 평원군의 원오리 사지, 봉산군의 토성리 사지등이 있따
Download : 고대 사회의 불교 건축.hwp( 28 )
다. 소수왕림 2년(372)에는 전진의 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어 불교를 전하였고 동왕 5년(375)에는 국내성에 이불난사와 초문사를 창건하였다.
형유왕(618~642년 재위) 때에는 중대사, 진구사, 유마사, 연구사, 대승사, 대원사, 금동사, 개천사 등이 있었고 보장왕 때에는 반용산 연복사, 영탑사, 육왕사 등이 있었다고 하나 그 위치는 확실하지 않다.
불교_건축
고구려 , 고려 , 조선 , 신라 , 백제의 불교 건축에 대하여 조사한 자료 불교_건축 , 고대 사회의 불교 건축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고대 사회의 불교 건축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고구려 , 고려 , 조선 , 신라 , 백제의 불교 건축에 대하여 조사한 자료(data)






고구려에서는 불교를 받아들이고 이를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사원을 많이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