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 관로에 흐르는 유동을 통해 손실을 측정(測定) 하는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0:17
본문
Download : 유체역학 - 관로에 흐르는 유동을 통.hwp
예를 들어 원유를 먼 지점으로 이송하는 송유관을 설계할 경우 파이프라인 중간에 설치되는 펌핑 스테이션(pumping station)의 개수, 펌프용량 등의 선정에 유동 손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다관마노메타는 유리관이므로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1) 하부수조를 깨끗이 청소한 후 하부수조에 깨끗한 물을 약 4/5정도 채운다.
- 입력유량조절밸브(로터미터:B)를 조절하여 설정된 유량과 로터미터 볼의 상단을 일치시킨다. 이러한 손실을 적절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장에서 어떤 유체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데 관(pipe)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의 직경, 길이 그리고 이를 구동할 펌프, 송풍기 등의 설계하는데 이러한 유동 손실을 파악하여야 한다. 현장에서 어떤 유체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데 관(pipe)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의 직경, 길이 그리고 이를 구동할 펌프, 송풍기 등의 설계하는데 이러한 유동 손실을 파악하여야 한다.
설명
Download : 유체역학 - 관로에 흐르는 유동을 통.hwp( 21 )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8) 실험은 제3장 유량측정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다.관내를 흐르는 유동에는 마찰, 급격한 면적 변화 등에 의해 손실이 발생한다.
(3) 게이트밸브 A를 완전히 열어 놓는다.
유체역학,관로에 흐르는 유동,손실
(9) 급확대관, 급축소관, 곡관, 직관, 밸브의 마찰손실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라인에 공급되는 유량조절밸브를 완전히 Open한다.
(4) 로터미터 유량조절밸브(B)를 완전히 Close한다.)
(2) 온도계로 물의 온도와 실험실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 급확대관, 급축소관, 곡관, 직관, 밸브의 마찰손실 측정
1) 실험진행순서
(7) 실험 초기에 다관마노메타의 공기를 완전히 빼준다.
유체역학 - 관로에 흐르는 유동을 통해 손실을 측정(測定) 하는 실험
(6) 최초 전원 ON상태에서 5~10초 후 로터미터 유량조절밸브(B)를 서서히 개도하여 설정된 유량에 로터미터 볼의 상단과 일치 시킨다.
순서
- 각 라인의 출구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하여 마노미터와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관에 공기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출구 밸브를 완전히 Close한다. (밸브 A가 Close된 상태에서 펌프를 ON하면 액주계(20,21)의 마노메타의 수은이 넘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원유를 먼 지점으로 이송하는 송유관을 설계할 경우 파이프라인 중간에 설치되는 펌핑 스테이션(pumping station)의 개수, 펌프용량 등의 선정에 유동 손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손실을 적절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실험장치는 그림 5.3~그림 5.5와 같으며 실험은 다음 순서로 진행한다.
다.





(5) 전원 콘센트를 220V, 3상에 연결하고 펌프 기동스위치를 ON한다.
관내를 흐르는 유동에는 마찰, 급격한 면적 變化 등에 의해 손실이 발생한다.
- 실험하고자 하는 라인의 출구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유량을 측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