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감소에 따른 문제 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18:29
본문
Download :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점.hwp
또한, 인천 송도 신도시 매립지 등 해안매립지 인근 갯벌에 사는 저서생물 등이 급감했다는 보고도 있따이 연구에 의하면 1995년 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12次例에 걸쳐 준설매립지인 송도신도시 매립지와 인천 LNG 인수기지에 인접한 주변해역 3개 지점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최고 40% 정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갯벌의 간척?매립은 이러한 갯벌의 기능들을 사라지게 하고 있따 갯벌을 매립함으로 인하여 갯벌생물의 서식처가 사라지게 되고, 각종 해양생물들의 생존에 악影響을 주게 되어 수산물의 감소를 가져오고 있따 또한 정화기능의 상실로 인하여 주변 바다의 부영양화와 유기물오염이 심화되며, 갯벌 인근 주민들의 전통적인 반농반어(半農半漁) 생계방식의 change(변화)와 지history회 파괴, 未來(미래)세대가 누려야 할 자원의 훼손 등 많은 drawback(걸점)이 나타나고 있따
2. 연안생태계 파괴
생태계에서 종다양성이란 그 군집의 성숙도와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군집의 천이과정을 나타내거나, 다른 군집과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는데, 시화호 주변 해양생태계의 경우 군집의 종수가 크게 줄어들고, 오염지시생물종의 폭발적인 증가로 매우 낮은 종 다양성 지수를 나타냈다. 36종까지 출현한 연체동물은 10종으로 72%나 급감하였고, 25종이 보이던 게와 새우 등 갑각류도 준설매립 공사 이후 11종이 감소한 14종만이 출현했다.
갯벌감소에 따른 drawback(걸점)
1. 들어가며
갯벌은 희귀 철새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되고, 수산물의 생산지이며, 육지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능력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아름다운 경치와 심미적 가치를 제공하여 왔다.
송도 신도시 매립지로부터 대략 3km 떨어진 지점의 경우 준설공사 처음 전인 1996년 연간 119종에서 준설매립이 진행된 97년에는 71종으로 40% 정도 줄었다.또 매립지로부터 비슷한 거리에 있는 다른 지점에서는 연간 저서생물 총 출현 종수가 86종에서 60종으로 30% 줄었으며, 이중 연체동물이 2…(省略)
Download :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점.hwp( 29 )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 점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 점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 점 ,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 점자연과학레포트 , 갯벌감소에 따른 문제 점
설명
갯벌감소에,따른,문제,점,자연과학,레포트
순서
레포트/자연과학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