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신은 존재 하는가?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13:09
본문
Download : 우리에게 신은 존재 하는가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고).hwp
인간은 턱없이 나약하고 부족한 존재다. 이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시려는 분들과 빠른 시간안에 이 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시려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Kn2018820_우리에게신은존재하는가이문열의사람의아들을읽고 , 우리에게 신은 존재 하는가?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이 보고서는 `이문열`저, `사람의 아들`책을 읽고 작성한 감상문입니다. 무신론에 가까운, 오히려 존재하지 않는 신을 만들어 냄으로써 신의 존재를 부정한것이다. 아니 어쩌면 신은 부재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작품분석을 하고 본인의 감상내용을 적었습니다. 새로운 신에 대한 그들의 갈망은 신은 없다는, 완전한 신은 결코 존재할수 없음을 스스로 체득한 체 절대적 신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남으로써 결론을 이끌어 낸다. 신은 인간에게 사랑과 행복과 희망을 주는 동시에 미움과 고통과 좌절, 그리고 죽음을 선사했다.
민요섭과 조동팔 역시 신의 모순에 회의를 느껴 새로운 신을 창조 했지만, 결국 그들이 원하는 신을 만들어 냈지만 그들의 신은 신이 아니였다. 작품analysis을 하고 본인의 감상내용을 적었습니다. 태초에 아담과 이브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날 때 인간은 원죄의 고통속에 오직 신에 대한 믿음으로만 구원되리라.`고 언급함으…(skip)
_hwp_01.gif)
_hwp_02.gif)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Kn2018820_우리에게신은존재하는가이문열의사람의아들을읽고
Download : 우리에게 신은 존재 하는가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고).hwp( 57 )
우리에게 신은 존재 하는가?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고)
순서
이 보고서는 `이문열`저, `사람의 아들`책을 읽고 작성한 감상문입니다.
기존의 입장에서 보자면 `신은 인간을 창조했다. 인간의 부족함을 채워 주어야 할, 그리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야 할 신이기에 신은 인간보다는 우월 하지만, 신 또한 불완전한 인간에 의해 창조 되었기에 결코 완전해 질수 없는 신, 이것이 신의 존재가 주는 딜레마다. 그래서 신에 의존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찾기도 하지만 인간이 그렇듯 신 또한 완전한, 절대적인 존재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인간은 인간의 힘으로 채울수 없는 많은 부분을 신에 의해 보상 받으려 한다. 민감하디 민감한 종교적 문제에서 저자가 그랬듯 나또한 `절대적인 신의 절대적 존재`라는 기존의 진리에 대해 도전하려 한다. 오히려 신이 인간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신을 창조 했음에 더 믿음이 간다.
부족한, 그리고 나약한 인간이 그들 스스로의 必要性에 의해 신을 창조한 것이 아닐까? 인간의 부족함을 보상 받기 위해, 그리고 심리적으로 의존할수 있는 대상을 찾기 위해. 즉 인간의 필요에 의해 신은 창조된 것이다. 이 책을 읽고 book report을 쓰시려는 분들과 빠른 시간안에 이 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시려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
설명
다. 그렇기에 `신은 죽었다`라고 당당히 말할수 있는 인간의 집단 속에 저자 이문열은 우리에게 신의 부재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다. 신의 존재의 진위 여부는 지금껏 금기시 되어왔던 일종의 성역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