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데이타베이스 구축現況과 활용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09:15본문
Download : 음성데이타베이스 구축현황과 활용방안.hwp
발성내용으로서, 단음절, 숫자, 지명(도청소재지, 도시명), 역 이름, 성명, 기본 어휘, 틀리기 쉬운 단어 쌍(minimal pairs) 등의 단음절, 일기 예보 등의 구 발성, 문장 등의 발성을 생각할 수 있따
또한, 음성 데이타베이스의 다양성, 비편중성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발성자의 연령과 직업, 출신지 등은 가능한 넓은 범위에 걸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화 방법은 표준어(공통어)를 원칙으로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방언을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레포트/기타
음성 데이타의 수록과 편집
가. 수록 및 방법
공통 이용 가능한 음성 데이타를 수집해서 보관, 공개함은 연구개발 입장에서는 analysis 방식과 인식 알고리즘의 개발, 평가에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식장치의 성능평가 비교를 객관적으로 할 수 있따
또 음성 데이타베이스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발성내용, 발성자의 범위, 녹음조건 등)에서 수록하는 다양성, 조건 설정이 적절하여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지 않는 비편중성, 데이타의 다량성, 누구라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고 편집이 쉬운 편리성이 있어야 한다.
데이타 량은 소수화자, 최저 2회 발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특정 화자용과 다수 화자의 2회 발성이 바람직한 불특정 화자용으로 나눠서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음성 데…(drop)
음성 데이타의 수록과 편집
,기타,레포트
순서






공통 이용 가능한 음성 데이타를 수집해서 보관, 공개함은 연구개발 입장에서는 分析(분석) 방...
설명
가. 수록 및 방법
음성데이타베이스 구축現況과 활용대책
Download : 음성데이타베이스 구축현황과 활용방안.hwp( 71 )
음성 데이타의 수록과 편집가. 수록 및 방법공통 이용 가능한 음성 데이타를 수집해서 보관, 공개함은 연구개발 입장에서는 분석 방... , 음성데이타베이스 구축현황과 활용방안기타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