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와 신간회 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13:42
본문
Download : 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와 신간회 운동_2024249.hwp
신간회는 자치운동 배격을 대중적으로 확산시켜 나갔고, 동아일보 계열은 자치론의 공론화를 유보하고 수양동우회 등과 연대, 신간회 침투 공작을 펼쳤다.
1926년 후반에 자치운동은 ‘비타협 민족주의 세력’ 과 ‘사회주의 운동’ 의 강력한 반대로 일단 무산되었으며, 오히려 1926년 말에서 1927년 초에 걸쳐 민족협동전선체 결성이 본격화되었다.한국근대민족운동사-통일지향 , 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와 신간회 운동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와 신간회 운동_2024249.hwp( 97 )
자치운동의 대두
일제 culture정치의 목적은 새로운 친일파의 양성과 민족해방운동을 culture운동으로 유도하고 나아가 참정권과 자치론 등을 제기함으로써 민족해방운동전선을 약화시키고, 민족분열을 획책하기 위한 정책이었다. 이에 총독부는 장기적인 지배를 위하여 자치의회 설치 계획안을 마련하는 등 그동안 보류했던 자치제 실시를 본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들은 동아일보 그룹, 수양동우회 천도교 신파 등이 자치운동의 잠재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순서
설명
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와 신간회 운동에 대한 글입니다. 또 1927년 말에서 1928년 초에 자치론자들은 신간회를 자치운동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국근대민족운동사-통일지향
다. 자치운동의 중심이었던 최린은 이 시기에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의 독립운동이 오늘날 불가능하다는 것에 확신하며, 조선의회의 설치가 조선민심의 안정을 꾀하는 것에 가장 긴요’ 하다고 주장하였다. 이 결과로 신간회 본부에는 ‘타협적 민족주의 세력’ 이 침투하였고, 이에 관련되어 각지의 대중단체는 본부의 ‘우경화’ 에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
레포트/인문사회
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와 신간회 운동
민족해방운동의 활성화와 신간회 운동에 대한 글입니다. 송진우, 김성수, 최린 등 자치론자는 이러한 움직임에 주목하여 현재 상태에서 조선의 독립운동은 절대 불가능하니 차라리 자치운동으로 방향 전환하여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1920년대 ‘비타협 민족주의 세력’ 과 ‘사회주의 운동’ 사이에 통일전선의 가능성이 높아져가자, 총독부는 그에 대한 대응으로 자치제 실시를 검토할 것처럼 행동하였다. 자치운동은 ‘culture정치’ 시기 민족해방운동전선에서 이탈한 세력이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에 호응하면서 나타난 결과였다. 그러나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고, 비타협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세력은 신간회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