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project- 히끼꼬모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20:37
본문
Download : 심리학 과제- 히끼꼬모리.hwp
내 친구 역시 잠자고 밥 먹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컴퓨터에 매달려 있으며, 작은 일에도 쉽게 화를 내곤 했다. 가장 먼저 통계적 기준에서 볼 때, ‘은둔형 외톨이’들은 일반 사람에 비해 집에서 혼자 머무르는 시간이 월등하게 길며(최대 10년까지), 다른 사회 계층에 비해 소수이지만 범죄를 저지르는 비율이 훨씬 높다. 히끼꼬모리에 대해 조사를 하면서 ‘내 친구야말로 히끼꼬모리의 전형이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이들은 사회 생활에 대한 의욕 상실이나 동기 부여의 결여로 인해 집안에 틀어박혀 자신의 일에만 관심을 보이는 경향을 보인다.
히끼꼬모리는 우리말로 ‘은둔형 외톨이‘라고 표현된다아 일반적으로 히끼꼬모리는 6개월 이상 외출하지 않고 집안에만 틀어박혀 혼자만의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인간에게 있어서 사회 속에서 자신만의 역할을 담당하고, 사회에 이바지하기 위해 사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적 규범이다.
Download : 심리학 과제- 히끼꼬모리.hwp( 12 )
,사범교육,레포트
다. 수업 시간도 빼먹기가 일수이고 씻는 것조차 귀찮아한다.심리학과제-히끼꼬모리에관하여 , 심리학 과제- 히끼꼬모리사범교육레포트 ,
심리학 project- 히끼꼬모리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심리학project-히끼꼬모리에관하여
`히끼꼬모리`라는 심리학 증상을 친구의 example(사례) 를 들어가며 紹介(소개)하고 요인을 알아본 글입니다. Japan에서는 이미 1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은둔형 외톨이‘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 나라 역시 그 수가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늘어나고 있다아
2. ‘은둔형 외톨이’의 이상행동 여부
그렇다면 ‘은둔형 외톨이’를 이상행동으로 볼 수 있을까? 경상 대학교 이민규 교수가 그의 저서 『인간의 마음과 행동』(한덕웅 외 15인, 박영사, 2004년) 477면에서 제시한 ‘이상행동의 定義(정이)’를 기준으로 볼 때, ‘은둔형 외톨이’는 이상행동임이 명확하다.
순서
1. 서론
2. ‘은둔형 외톨이’의 이상행동 여부
3. 친구의 사례(instance)를 통해 分析(분석)한 ‘은둔형 외톨이’의 Cause
4. 결론
1. 서론
나의 친구 중 한 명은 주변 사람과의 접촉을 극히 꺼린다. 그러나 ‘은둔형 외톨이…(drop)
`히끼꼬모리`라는 심리학 증상을 친구의 사례를 들어가며 소개하고 원인을 알아본 글입니다. 그 친구가 집에서 하는 일이란 오직 게임뿐이다. 통계적 기준이라고 하는 것은 어떤 사람의 행동이 대다수 많은 사람들의 mean or average(평균) 적인 행동과 비교하여 일탈돼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은둔형 외톨이’는 통계적 기준으로 이상행동이다.
한 사회에 속한 사람이 준수해야 하는 사회적 규범을 의미하는 culture적 규준으로 판단할 때도 ‘은둔형 외톨이’는 정상적이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