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동국통감(東國通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16:03
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동국통감(東國通鑑)』.hwp
, [인문][사회] 『동국통감(東國通鑑)』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사회 『동국통감 東國通鑑 』
[인문][사회] 『동국통감(東國通鑑)』
순서
![[인문][사회]%20『동국통감(東國通鑑)』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3%80%8E%EB%8F%99%EA%B5%AD%ED%86%B5%EA%B0%90(%E6%9D%B1%E5%9C%8B%E9%80%9A%E9%91%91)%E3%80%8F_hwp_01.gif)
![[인문][사회]%20『동국통감(東國通鑑)』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3%80%8E%EB%8F%99%EA%B5%AD%ED%86%B5%EA%B0%90(%E6%9D%B1%E5%9C%8B%E9%80%9A%E9%91%91)%E3%80%8F_hwp_02.gif)
![[인문][사회]%20『동국통감(東國通鑑)』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3%80%8E%EB%8F%99%EA%B5%AD%ED%86%B5%EA%B0%90(%E6%9D%B1%E5%9C%8B%E9%80%9A%E9%91%91)%E3%80%8F_hwp_03.gif)
![[인문][사회]%20『동국통감(東國通鑑)』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3%80%8E%EB%8F%99%EA%B5%AD%ED%86%B5%EA%B0%90(%E6%9D%B1%E5%9C%8B%E9%80%9A%E9%91%91)%E3%80%8F_hwp_04.gif)
![[인문][사회]%20『동국통감(東國通鑑)』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3%80%8E%EB%8F%99%EA%B5%AD%ED%86%B5%EA%B0%90(%E6%9D%B1%E5%9C%8B%E9%80%9A%E9%91%91)%E3%80%8F_hwp_05.gif)
설명
다. 『동국통감』이전의 현존하는 어떤 사서도 이처럼 구성되어 있는 책은 없다. 더구나 『동국통감』이 훈구와 사림의 합작임에도 사론의 대다수를 사림이 저술하고 있어, 성종조 사림의 歷史(역사)인식을 엿볼 수 있는 파격적인 사료로 주목된다된다. 따라서 『동국통감』의 편찬 과정과 편찬 의도, 그리고 사론의 성격을 규명한다면 조선 초기 사림들이 歷史(역사)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아울러 훈구와 사림의 교체기 속에서 편찬된 『동국통감』을 통해 조선 개국 이후 성종조까지 편찬된 여러 사서들에 대한 사관이 어떠하였는지 짐작해볼 수 있따4)
2. 본론
2.1. 편찬자 分析
성종 16년 7월 신편된 『동국…(skip)
인문,사회,『동국통감,東國通鑑,』,인문사회,레포트
[인문][사회] 『동국통감(東國通鑑)』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여기에 『동국통감』 수찬자들의 사관이 담긴 사상까지 풍부히 싣고 있어, 당대의 歷史(역사)관을 파악할 수 있을뿐더러, 이전 사료에 대한 사론에 대한 歷史(역사)인식의 시대적 변천을 파악할 여지마저 제공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 『동국통감(東國通鑑)』
Download : [인문][사회] 『동국통감(東國通鑑)』.hwp( 80 )
『동국통감(東國通鑑)』
1. 서론
사론(史論)은 歷史(역사)서술에 있어서 편찬자(編撰者)의 사관(史觀)을 표현하는 가장 뚜렷하고 직접적인 방법이다.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동국통감』은 기존에 존재한 많은 사론을 합쳐 총 385편의 방대한 사론을 싣고 있따 구편(舊編)과 신편(新編)의 사론과 함께 성종조 당대까지의 모든 관찬사서의 사론을 모두 수합하여 정리(arrangement)하였기 때문에3), 기존의 그 어떤 사서보다도 분량이 방대하다.1)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동국통감(東國通鑑)』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관찬사서(官撰史書)는 사론(私論)을 달아놓았고, 조선왕조실록에서 무수한 사론이 등재되어 있따 왕조실록은 성종 시기부터 사론이 폭발적으로 수록되는데, 이는 사림(士林)이 중앙 정계에 진출하는 성종 9년과 시기와 같으므로, 사론이 사림의 진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따2)
따라서 『동국통감』이 당시의 편찬자들의 논찬이 수록되고 사론이 증가한 것은, 국초부터 심혈을 지울여 편찬해온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는 물론, 불과 성종 7년에 편찬된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와도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