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기본Nursing - 배변 총정리(整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08:39
본문
Download : [간호] 기본간호학- 배변 총정리(2).hwp
정상적으로 상주하는 대장균이나 포도상구균이 포함되어 있어 특유의 냄새를 갖는다.
[간호] 기본Nursing - 배변 총정리(整理)
![[간호]%20기본간호학-%20배변%20총정리(2)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5D%20%EA%B8%B0%EB%B3%B8%EA%B0%84%ED%98%B8%ED%95%99-%20%EB%B0%B0%EB%B3%80%20%EC%B4%9D%EC%A0%95%EB%A6%AC(2)_hwp_01.gif)
![[간호]%20기본간호학-%20배변%20총정리(2)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5D%20%EA%B8%B0%EB%B3%B8%EA%B0%84%ED%98%B8%ED%95%99-%20%EB%B0%B0%EB%B3%80%20%EC%B4%9D%EC%A0%95%EB%A6%AC(2)_hwp_02.gif)
![[간호]%20기본간호학-%20배변%20총정리(2)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5D%20%EA%B8%B0%EB%B3%B8%EA%B0%84%ED%98%B8%ED%95%99-%20%EB%B0%B0%EB%B3%80%20%EC%B4%9D%EC%A0%95%EB%A6%AC(2)_hwp_03.gif)
![[간호]%20기본간호학-%20배변%20총정리(2)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5D%20%EA%B8%B0%EB%B3%B8%EA%B0%84%ED%98%B8%ED%95%99-%20%EB%B0%B0%EB%B3%80%20%EC%B4%9D%EC%A0%95%EB%A6%AC(2)_hwp_04.gif)
![[간호]%20기본간호학-%20배변%20총정리(2)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5D%20%EA%B8%B0%EB%B3%B8%EA%B0%84%ED%98%B8%ED%95%99-%20%EB%B0%B0%EB%B3%80%20%EC%B4%9D%EC%A0%95%EB%A6%AC(2)_hwp_05.gif)
![[간호]%20기본간호학-%20배변%20총정리(2)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5D%20%EA%B8%B0%EB%B3%B8%EA%B0%84%ED%98%B8%ED%95%99-%20%EB%B0%B0%EB%B3%80%20%EC%B4%9D%EC%A0%95%EB%A6%AC(2)_hwp_06.gif)
[간호],기본간호학-,배변,총정리,의약보건,레포트
순서
[간호] 기본Nursing - 배변 총정리(整理)
레포트/의약보건
[간호] 기본간호학- 배변 총정리 , [간호] 기본간호학- 배변 총정리의약보건레포트 , [간호] 기본간호학- 배변 총정리
Download : [간호] 기본간호학- 배변 총정리(2).hwp( 47 )
21.배변
(1)대장
영양소와 수분의 재흡수, 장을 보호하는 점액을 분비, 변을 배설
변의 배설은 대장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며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4)배변
약 75%의 물과 25%의 고형물질로 구성
빌리루빈 constituent 이 있어 대변은 갈색을 띤다.
2)분변매복
단단한 변이 축적되어 직장에 끼어 배출되지 않는 것
반복적인 변의에도 불구하고 며칠동안 배변 할수 없는 것 , 설사성 대변이 계속적으로 스며 나오면 매복이 예상된다
식욕부진, 복부팽만, 복부경련, 직장의 통증이 수반
의심…(To be continued )
설명
다.
앉아서 대퇴를 굴곡할 때 복강과 직장의 압력이 올라가 원활하게 발생
직장내압이 18mmhg가 되면 변의가 생기고 55mmhg에 도달하면 내항문괄약근 뿐만아니라 외항문괄약근도 이완되어 내용물이 배출된다
장배설의 變化
1)변비
개인마다 다르며 일주일에 2회이하
질병이 아니라 증상, 단단하고 건조한 분변의 통과가 지연되거나 어려운 것으로 장운동의 빈도가 감소되는 것
심혈관질환이나 뇌내압 및 안압의 증가로 야기되는 질병이 있는 대상자는 변비의 발생을 막고 발살바 수기 사용을 피해야 한다.
바살바법은 복부내압을 평소보다 4~5배 상승시킨다.
부교감신경은 장운동을 자극, 교감신경은 장운동을 억제
팽기운동, 연동운동, 집단운동
(2)직장과 항문관
길이:12~15cm (그 중 2.5~5cm는 항문관)
직장내부에는 세로방향의 주름이 있어 분변물질을 일시적으로 지탱하는 역할
반복적인 압력으로 인해 순내환이 잘 안되고 이 정맥들이 팽창되면 치질 발생
항문괄약근은 불수의근, 외문괄약근은 수의근
대변이 직장에 도달하게 되면 뇌로 가는 신경회로에 의해 감지되고 변의를 느끼게 됨
(3)배변반사
직장내부의 분변에 의해 촉발
분변이 직장으로 들어갈 때 직장의 팽창으로 압력이 상승하면 배변반사가 스타트되고 뇌로 가는 신경 회로에 의해 감지되어 변의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