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3:36
본문
Download : 시조_2014436.hwp
다음은…(skip)






시조-수정
레포트/기타
순서
,기타,레포트
시조
다. 먼저 ‘한시기원설’을 살펴보면, 안자산은 한가사의 단가사와 시조와는 서로 비슷한 성조로 되었다는 것이고, 그래서 시조는 한시의 단율을 본받아 성형된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에 대하여 안자산 자신도 한시의 어떤 율조 시조와 같다 하기는 미가필이라고 이야기했듯이 논거가 부족한 설이라 평가된다 정래동은 시조는 한시를 번역하면서 발견된 시형이라는 주장을 하였다. 또한 김지용은 시조의 시형 및 시상은 china(중국) 의 한시에서 effect 받았다는 것이고 한시를 읊조리는 과정이나 해석하는 동안에 시조의 내용이나 시형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며, 또 한시를 음미하자면 자연 시조 종장과 같은 반복이 생겨난다고 하였다.
시조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으로 시조의 종장이 초장 중장의 내용을 반복하도록 되어있는 것만도 아니고, 수사법 상으로도 시조의 종장이 반복법만 사용하게끔 되어 있는 것이 아니어서 논거가 부족하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또 시조를 한시를 번역하면서 발견된 시형이라고 했는데 이 역시 시조가 있은 후 그 시형으로 한시를 번역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이러한 정래동의 주장에 대하여 천태산인은 china(중국) 의 시조라는 것이 우리나라의 시조와 동일 형태의 것이라는 확증이 없기 때문에 이는 지나친 견강부회라고 하였다.
Download : 시조_2014436.hwp( 70 )
설명
시조에 대한 글입니다.시조-수정 , 시조기타레포트 ,
1)외래기원설
외래기원설은 시조연구 초기 단계에서 많이 논의된 것으로 한시에서 왔다는 설과 불가에서 왔다는 설로 나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