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06:56본문
Download :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2).hwp
초기 행동주의 가족치료는 부모로 하여금 아동의 행동증상을 조작적 조건형성 원리를 이용하여 efficacy적으로 통제하도록 훈련시켰다. 벌은 사용하기 쉽고 단기적인 efficacy가 있지만 바람직하지 못한 측면이 있으므로 모든 긍정적인 방법을 사용해도 efficacy가 없을 때 사용해야 한다. 즉, 초기 행동주의 치료는 개인을 대상으로 개입하고 가족 전체를 치료대상으로 삼지는 않았다.
1) 행동치료와 인지상담의 기초 관념
(1) 정적 강화 (positive reinforcement)
: 어떤 행동 후에 따르는 결과로 인해 future(미래)에 그 행동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 즉, 결과에 대한 보상을 줌으로써 그 행동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2) 부적 강화 (negative reinforcement)
: 싫은 자극에서 벗어나기 위해 바람직한 행동을 함으로써 행동을 강화받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례(instance)를 접하는 동안 가족이 개인의 단순한 총합이 아닌 복합적인 체계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가족관계에 주목하였다. 이 理論(이론)은 조작적 反應(반응)의 빈도는 그 결과에 의해 결정되며, 긍정적으로 강화된 反應(반응)은 훨씬 자주 발생하고 처벌받거나 무시된 反應(반응)은 소멸된다는 가정을 가진다.
(3) 벌 (punishment)
: 행동 후에 따르는 결과로 인해 future(미래)에 그 행동의 빈도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표적행동을 구성하는 부분을 나누어서 조금이라도 표적행동에 가까워지면 강화하여 점차 바람직한 행동이 나타나게 하는 것을 행동형성이라 한다.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
발달배경 및 주요관념
: 행동주의 가족치료에 많은 影響(영향)을 준 것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理論(이론)이다.
(6) 소거(extinction)
: …(drop)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
Download :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2).hwp( 20 )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 ,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인문사회레포트 , 인지행동주 가족치료
인지행동주,가족치료,인문사회,레포트
다.
(5) 모델링(modeling)
: 모델의 행동을 observation하고 유사하게 행동하는 것으로 사회학습理論(이론)에 바탕을 둔 대리학습, 모방과 관련된다된다.
(4) 행동형성 (behavior shaping)
: 사람이 하지 않던 행동을 학습시킬 때 처음부터 완벽한 행동만 강화하려 하면 강화할 기회가 적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