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web.co.kr 고구려 culture재 > bitweb1 | bitweb.co.kr report

고구려 culture재 > bitweb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itweb1

고구려 culture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03:17

본문




Download : 고구려 문화재.hwp




높이 7m, 남북 길이 33m, 동서 길이 약 30m에 이르는 방대원형(방대원형)의 토분으로, 1949년에 발굴 조사하였다. 천장은 모두 굄식으로 짜올렸으며, 4각, 8각의 돌기둥 위에는 주두(주두)가 있고 그 위에 첨차와 접시받침을 얹어 공포를 만들었다. 고분 내부에 들어서면 높이가 2.34m나 되는 두 짝의 돌문이 있고, 돌문을 들어서면 앞방이 있고, 앞방 좌우에는 작은 옆방이 있으며, 앞방 안쪽에는 8각 돌기둥 3개를 사이에 두고 시신을 안치한 널방이 있따 널방 동쪽과 북쪽에는 4각 기둥을 세워 복도를 설치하였다. 널방[현실] 안에 진(진)나라 때 사경체(사경체)로 쓴 묵서(묵서)가 있어 이 고분이 357년(고국원왕 27)에 조성된 한국 최고(최고)의 벽화고분임이 밝혀졌다. 총면적 81m에 달하는 널방 벽은 잘 연마한 석회암의 대판석(대판석)으로 구축하였고, 그 위에 직채(직채)로 벽화가 그려져 있따 즉 널방 복도에는 높이 2m, 길이 6m의 큰 판석에 250여 명의 기사(기사), 보졸(보졸)의 대행렬도(대행렬도)가 있고, 앞방 동쪽에는 씨름도와 그 밑에 도끼를 들고 행진하는 무사들의 그림이 있따 앞방 서쪽 벽에는 앞서 말한 묵서가 있고, 남쪽에는 ‘전리(전리)’라는 붉은 글씨와 깃발을 든 7명의 인물이 그려져 있으며, 서쪽 옆방의 좌우 벽에는 각각 칼을 짚고 서 있는 한 사람씩의 그림과 그 위에 붉은 글씨로 ‘장하독(장하독)’이라고 쓰여 있따 남쪽 옆방 벽에는 이 무덤의 주인인 동수와 동수 부인이 시녀들을 거느리고 각각 가마 위에 앉아 있는 호화로운 그림이 있으며, 이 밖에도 일상생활, 기구 등 많은 벽화가 그려져 있따 출토된 유품으로는 토기류와 철제창(철제창), 관정(관정), 관재칠피(관재칠피) 등이 있으며 인골(인골)도 있따 동수는 전연(전연)의 모용인(…(省略)
순서

Download : 고구려 문화재.hwp( 57 )



안악궁터




고구려%20문화재_hwp_01.gif 고구려%20문화재_hwp_02.gif 고구려%20문화재_hwp_03.gif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안악궁터동수묘(동수묘)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용순면) 유순리(유순리)에 있는 고구려시대 벽화고분. 북한 국보 제28호. 안악 제3호분이라고도... , 고구려 문화재인문사회레포트 ,

고구려 culture재


동수묘(동수묘)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용순면) 유순리(유순리)에 있는 고구려시대 벽화고분. 북한 국보 제28호. 안악 제3호분이라고도...
설명
안악궁터
동수묘(동수묘)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용순면) 유순리(유순리)에 있는 고구려시대 벽화고분. 북한 국보 제28호. 안악 제3호분이라고도 하며, 북한의 지정 명칭은 ‘하무덤’이다.
전체 12,58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itweb.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