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分析 / ·中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0:40본문
Download : 한중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분석.hwp
한중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분석 / ·中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
2.2. 피수식어
정도부사는 어떤 성질이나 상태의 속성적인 definition 과 결합하여 그 정도성을 수식하는 공통성이 있다아 일반적으로 정도부사는 程度, 比 그리고 量 등의 definition 으...





1. 서론
3.1. [-동태성] 술어
다. 이때 기술상의 편의를 위하여 상용도가 제일 높은 한국어의 ‘더’와 ‘更’3)을 대표로 하여 논술한다.
·中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分析 1. 서...
2.1. 비교표시 부사
이러한 통사·의미적인 공통점은 양 언어의 비교표시 정도부사에 대하여 대조분석을 가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한편 통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정도부사는 무엇보다도 술어와 매우 밀접한 문법관계를 가진다.2)
1. 서론
그는 나보다 {더, 더욱, 한결} 보수적이다. 이러한 통사적인 대조분석을 통하여 두 언어에서 ‘더’와 ‘更’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날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글의 논술 범위는 현대 중국(中國)어와 현대 한국어의 비교 정도 부사를 대상으로 한다. 그 이유는 이들 두 비교 정도부사가 두 언어에서 각각 통사·의미적으로 비교적 동질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參考文獻
4. conclusion
2.1 비교 정도 부사
설명
2. 부사와 피수식ingredient 분석
Download : 한중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분석.hwp( 57 )
(1) 他比我 {更, 更加} 保守。
한중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分析 / ·中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
〈 目 次 〉
·中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분석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본 논문은 한·중 양어의 비교 정도 부사1)의 용법에 관한 대조분석을 통하여 중국(中國)어 교육과 학습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이 글의 주가되는 제3장에서는 기 분류된 한·중 양어의 비교 정도 부사와 피수식 술어 및 양태부사와의 공기 양상을 여러 용례를 통하여 대조 분석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피수식 ingredient을 분류하여 ·中 두 언어에서 비교 정도 부사의 대조되는 문법적 특징을 살피도록 한다.
3. 피수식 ingredient과의 공기여부
3.2. [+동태성] 술어
3.3. 특수 술어
·中 비교 정도 부사 ‘더’류와 ‘更’류의 통사 대조 분석 1. 서...
2. 부사와 피수식 ingredient 분석
순서
이글의 제2장에서는 비교 정도 부사와 그 피수식어, 즉 술어 및 양태부사를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