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10:31
본문
Download : 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hwp
공원면적을 산정하는 기준에도 사람과 나라와 도시에 따라 각기 주장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公式 을 정하기는 어렵다.
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 , 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공원 면적기준 배치 검토
레포트/법학행정
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
순서
Download : 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hwp( 82 )
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
1. 들어가며
공원의 면적이 얼마나 되면 이상적이냐고 물었을 때 넓으면 넓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넓고 많다는 것도 적정규모가 필요하다.
2. 1인당 소유면적
먼저 1인당면적을 기준해서 볼 때 미국과 같이 국토가 넓은 나라에서는 많고 유럽은 작으나 나라마다 책정기준이 다르고 생활양식과 공원종류에 따라서도 다르다.
지금까지 제안되어 온 理論(이론)을 각국별로 살펴보면 미국 5%전후, 영국 10%, 유럽도시가 mean or average(평균) 3~4%정도로, 옴스테드(Olmstead)는 8~10%가 적합하고 최소 5%는 있어야 한다…(To be continued )


공원,면적기준,배치,검토,법학행정,레포트
설명
공원의 면적기준 및 배치 검토
다.
도시공원의 1인당 보유면적을 보면 1960년대 중반의 예로서 워싱턴 45.2m², 뉴욕 19.0m², 빈 26.7m², 암스테르담 14.1m², 런던 10.0m², 파리 5.8m²이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서울 5.0, 부산 5.6, 전주 18.8m²등으로되어 있다 Japan의 경우는 도시공원법시행령에서 도시의 구역내에서 거주자 1인당 6m²이상이라는 규정이 있다
3. 도시면적비율
도시면적에 대한 공원비율이 어느 정도가 이상적이냐에 대하여도 사람마다 나라마다 다르고 역시 생활 수준과 공원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그 예로서 미국의 경우는 1인당 도시녹지의 면적표준은 40m²이고, 도시공원은 30m²이다. 독일은 20m²정도를 표준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30~40m²로 되어 있다 영국의 경우는 공원녹지표준은 20m²이지만 최근 뉴타운에서는 40m²이상 책정하는 곳이 많다.
다만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理論(이론)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면 1인당소유면적산축과 도시면적비율산출 및 공원1개소의 적정규모산출 등의 방법이 있다
理論(이론)적으로는 1915년 베를린 도시계획에서 와그너(Wagner)공원국장이 시도한 녹지종류별 소요기준인 와그너계수(Wagnerishce Zahren)가 최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