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탑과 불교건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0:34
본문
Download : 한국의 불탑과 불교건축.hwp
그리고 개선사지석등에는 8각 화사석 간지에 건조연기가 음각되어 있어 신라 진성녀왕 5년(891)에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이렇듯 절대연대가 밝혀진 석등은 드문 일로서 다른 석등의 건조연대를 추정하는데 하나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특히 주목된다된다.
다음으로 이형적인 석등양식을 살펴보면 우선 석탑에서와 같이 어떤 …(skip)
Download : 한국의 불탑과 불교건축.hwp( 45 )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한편 통일신라시대에 특히 호남지방에서 유행되었다고 생각되는 특수한 형식으로서 고복형이라 불리우는 형태가 있다. 이밖에도 임실용암리석등과 실상사석등 등도 이러한 종류에 속하는 유례인데 이들 석등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화창구가 8면에 모두 개설되어 있는 점으로서 이는 고복형석등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색이라 하겠다. 이 형태는 각부가 8각인 점에서 ... , 한국의 불탑과 불교건축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한편 통일신라시대에 특히 호남지방에서 유행되었다고 생각되는 특수한 형식으로서 고복형이라 불리우는 형태가 있따 이 형태는 각부가 8각인 점에서 ...
다. 그리고 이러한 형식의 석등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징은 복련석 혹은 개석의 귀꽃이 특히 강조되고 있는 점이라 하겠는데 이런 것의 대표작으로는 화엄사각황전앞 석등을 들 수 있겠다. 이 석등은 우리나라 최대의 걸작이라는 점에서 주목되지만 장엄하고 대담한 걸작이라는 데서 더욱더 주의를 끈다.






한국의 불탑과 불교건축
레포트/공학기술
한편 통일신라시대에 특히 호남지방에서 유행되었다고 생각되는 특수한 형식으로서 고복형이라 불리우는 형태가 있다 이 형태는 각부가 8각인 점에서 일반적인 전형양식과 같으나 다만 간석이 8각이 아닌 원형의 평면이며 중앙에 굵은 마디를 두어 마치 고형을 이루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