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세기(世紀) 구비문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20:24본문
Download : 구비문학_연구.hwp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이루어진 구비문학 연구의 주요성과는 최남선, 손진태, 김소운, 송석하, 임석재, 최상수, 고정옥 등의 연구로 대표된다. 최남선의 신화연구나 손진태의 설화연구, 송석하의 민속극 연구는 구체적 방법론은 차이가 있으나 문화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21 세기(世紀) 구비문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
④ 의 전산화를 통한 통계적 연구
③ 연구대상의 확장
① 전승론적 과제(problem)
2. 21세기 정보화시대의 구비문학의 존재양상
⑤ 정서의 계량화에 의한 작품론의 과학화
구비문학 설화 무가 / (문학)





순서
설명
⑥ 비교문학적 연구의 확장
① 의 영상화
구비문학 설화 무가 / (문학)
Download : 구비문학_연구.hwp( 71 )
② 현장론적 과제(problem)
5. 구비문학의 새로운 연구방법
1. 지금까지의 구비문학 연구 동향
구비문학 설화 무가
④ 문학연구의 theory(이론) 정립을 위한 시험적 연구
3. 구비문학과 전파문학의 관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전통적 구비문학의 연구
⑦ 실용성 제고를 위한 연구 오늘날의 구비문학 연구는 연구영역과 대상을 확장하면서 세계적으로 구축된 다양한 theory(이론)을 수용하여 다채롭게 진척되었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초고속 정보화 시대를 맞아 생산방식과 생활양식이 급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인간의 의식과 가치관이 달라지고 있기에 앞으로의 구비문학의 연구관점이나 방법도 달라지리라고 본다. 이들의 연구는 민족의 전승문화를 발굴하고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는 작업으로서 설화, 민요, 무가 등 구비문학 를 채록하여 정리하면서 신화나 탈춤 등의 근원을 찾는 연구를 병행하였다.
② 연구방법의 디지털화
③ 민족문학으로서 연구과제(problem)
다. 따라서 21세기에 이르러 혁신적인 연구방법의 전환이 급작스럽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거나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된다. 이런 견지에서 본 발표에서는 앞으로 예상되는 사회change(변화)를 염두에 두고 오늘의 관점에서 지난날의 구비문학의 연구동향을 돌아보면서 새로운 구비문학 연구의 목표(目標)와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구비문학의 초창기 연구는 문학적 관심보다는 전승문화로서의 민속학적 관점에서 처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