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文化(culture) 의 이해) 다과의 명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7:04본문
Download : (동양문화의 이해) 다과의 명칭.hwp
철제, 동제, 은제, 등이 있으나 철 제는 녹이 슬기 싶고 은제는 사치스러워서 피하는 것이 좋고 도자기로 된 것이 가장 차의 격조에 알맞 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횡파형의 다관을 많이 쓰고 있따 좋은 다관의 요건은 빛깔, 몸통, 뚜껑, 주둥이, 거르는 거물, 손잡이가 잘된것이라야 한다. 이러한 다도구는 지극히 예술성이 높고 또한 아취적이라서 각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수 있으 나 가능한 한 사치스러운 것은 피하고 소박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를 통틀어 다도구라 한다.
1) 다관
탕관에서 끓인 물과 잎차를 함께 넣고 우려내는 주전자를 말한다. 다관은 모양과 손잡이가 달린 위치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손잡이를 잡았을 때 편안한것과 주둥이가 잘 만들어져서 차 를 따를 때 찻 물이 잘 멈추어지고 줄줄 흘러 내리지 않아야 한다. 귀찮으시더라도 꼭 다운받으신 다음 좋은 자료평가 부탁드려요 ^^항상 행복과 건강이 따르길 기도하며.... ^^*동양문화의이해다과 , (동양문화의 이해) 다과의 명칭..인문사회레포트 ,
동양文化(culture) 의이해다과
순서
다.
(동양文化(culture) 의 이해) 다과의 명칭..
%20%EB%8B%A4%EA%B3%BC%EC%9D%98%20%EB%AA%85%EC%B9%AD_hwp_01.gif)
%20%EB%8B%A4%EA%B3%BC%EC%9D%98%20%EB%AA%85%EC%B9%AD_hwp_02.gif)
%20%EB%8B%A4%EA%B3%BC%EC%9D%98%20%EB%AA%85%EC%B9%AD_hwp_03.gif)
%20%EB%8B%A4%EA%B3%BC%EC%9D%98%20%EB%AA%85%EC%B9%AD_hwp_04.gif)
%20%EB%8B%A4%EA%B3%BC%EC%9D%98%20%EB%AA%85%EC%B9%AD_hwp_05.gif)
%20%EB%8B%A4%EA%B3%BC%EC%9D%98%20%EB%AA%85%EC%B9%AD_hwp_06.gif)
,인문사회,레포트
귀찮으시더라도 꼭 다운받으신 다음 좋은 자료(data)평가 부탁드려요 ^^
항상 행복과 건강이 따르길 기도하며.... ^^*
Download : (동양문화의 이해) 다과의 명칭.hwp( 12 )
레포트/인문사회
여러분 정말 열심히 작성한 레포트입니다.…(투비컨티뉴드 )
여러분 정말 열심히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그리고 다관의 뚜껑이 안정된 것이라야 다관을 기울였을 때 .뚜껑이 벗겨지지가 않으며, 다관 내부의 거 르는 거물이 가늘고 섬세하게 구명이 고르게 만들어져서 차찌꺼기가 새어 나오지 않아야 좋은 다관이라 할 수 있따
상파형(日本(일본)) - 후파형(중국(中國)) - 정파형 또는 횡파형(한국) - 보병형(손잡이가 없는것)
2) 찻잔
찻잔의 모양에는 잔(盞, 杯, 盃) 주발, 구, 술잔형 등이 있따
잔의 입이 넓고 아래는 좁으며 몸통이 낮은 것을 盞이라 하며, 잔의 입이 넓고 아래는 좁으면서 굽이 높게 받쳐져 있는 것을 杯,盃라 하고, 잔의 입과 아래의 넓이가 비슷하고 몸통이 높으며 수직으로 생긴 ( ), 술잔 형태의 (種)으로 구별해서 쓸 수 있따 그러나 이러한 찻잔들은 대체로 투박하지만 뜨거운 열이 겉으로 베어 나오지 않는 것이 좋은 찻잔이다.
초보자에게는 잘 우려진 차의 빛깔인 연녹색을 감상할 수 있는 산뜻한 백자잔이 알맞다. 소형의 찻잔은 최상품의 喫茶用, 중형의 찻잔은 중 등품 이상의 飮茶用, 대형의 찻잔은 하등품의 茶用에 적합하다.설명
동양文化(문화)의 이해
* 다과의 명칭
1. 다도구의 종류와 용도
1) 다관
2) 찻잔
3) 물식힘사발
4) 찻잔받침
5) 차통
6) 차숟가락
7) 차솥
8) 화로
9) 찻수건
10) 물버림사발
11) 차반
12) 찻상
13)표주박
14) 물항아리와 찻상보
15) 찻사발
16) 차선
***reference***
1. 다도구의 종류와 용도
차를 맛있고 향기롭게 마시려면 각종 차그릇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