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3:20
본문
Download : 읽기 성취 기준의 구분 근거에 .hwp
그러므로 먼저 국어과 성취기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국어과 평가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명료한 평가기준의 개발이 요청된다
평가기준은 성취기준에 따른 학습자의 수행과 산출물의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교수-학습 장면에서 학습目標(목표)가 성취기준의 역할을 해 온 것이 또한 사실이다. 그런데 국어교육 현장이나 연구자 사이에 성취기준의 定義(정의) 은 아직 그렇게 명료하게 공유되지 않은 듯하다. 초등학교 국어과의 경우, 교과서 단원에는 학습 目標(목표)가 제시되어 있고, 이러한 目標(목표)를 도달하기 위해 교수-학습이 진행된다
3. 선행 연구 검토 5
다. 학교의 교사들에게 학습 目標(목표)는 매우 친숙한 용어이다. 그러므로 평가기준의 개발에 앞서 성취기준의 개발과 theory(이론)적 배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어과에서 수행평가는 초등학교는 물론이고 중고등학교에서도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Download : 읽기 성취 기준의 구분 근거에 .hwp( 11 )
1. 서 론 1
읽기 평가 수준
읽기 평가 수준 / (읽기평가)
레포트 > 기타
2. 평가기준의 定義(정의) 2
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
읽기 평가 수준 / (읽기평가)
4. 문제점과 논의 14
5. 결 론 19





순서
설명
참고 문헌 21
선다형 평가와 같이 학습자의 reaction 이 제한된 도구를 사용할 때와는 달리 국어과 수행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명료한 평가기준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