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장애인 복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6:25
본문
Download : 내부 장애인 복지.hwp
관련분야의 report를 쓰고자 하는 분들에게 많은 참고가 될것입니다.
장애해결해야할문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내부 장애인 복지.hwp( 48 )
설명
Ⅰ. 내부장애의 정의(定義)
Ⅱ. 내부장애 판정기준
1. 심장장애 등급기준 규정 및 판정요령
2. 개 요
3. 등급별 판정요령
4. 심장장애 판정시 검사항목 및 항목별 점수 기준
5. 심장장애의 재판정에 관한 사항
6. 신장장애 등급기준 규정 및 판정요령
Ⅲ. 우리나라 제도별 장애 범주
1. 장애인 복지법
2. 산업재해보상保險(보험) 법
3. 군인연금법
4. 국가유공자 예우 등에 관한 법률
5. 의사상자예우에 관한 법률
Ⅳ. 내부장애인의 property(특성)과 발생Cause
1. 심장장애 property(특성)
2. 심장장애의 대표적심질환
1) 부정맥
2) 허혈성 심질환
3) 심근증, 판막증, 선천성심질환, 심주전
3. 인공 심장
4. 심장장애 증상과 Cause
1) 협심증
2) 심부전
Ⅴ. 내부장애인의 직업재활 전략(strategy)
1. 직업적 property(특성)
1) 심장장애
2) 신장장애
Ⅵ. 내부장애우와 고용
1. 심장기능 장애우 대한 고용상의 일반적 주의점
2. 신장기능 장애우에 대한 고용상의 일반적 주의점
3. 직업재활과 고용에 대한 기본원칙
4. 직업재활 전문요원
Ⅰ. 내부장애의 정의(定義)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개정령」에는 내부장애로 신장장애와 심장장애를 규정하고 있다
내부장애란 인간의 몸속에 있는 각종 장기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완치되기 어려운 내부기관의 질환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에 제약을 받는 장애를 말한다 선진국의 경우도 이들을 장애인으로 간주하여 복지혜택을 주고 있다 Japan의 경우는 신체장애자복지법에서 영속적으로 일상생활에 현저히 제한을 받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 내부장애가 장애범주에 포함되었으나, 우리나라도 1999년 2월 8일 장애인복지법의 전문을 개정, 1999년 12월 31일 동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전문을 개정하여 장애범주를 확대하면서 내부기관장애 중에 심장장애와 신장장애를 장애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아직은 병이 제한되어 있다 앞으로 점차적으로 내부장애의 범위가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관련분야의 레포트를 쓰고자 하는 분들에게 많은 참고가 될것입니다.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장애과제 , 내부 장애인 복지인문사회레포트 ,
내부 장애인의 definition 와 판정기준 및 내부장애인의 特性과 발생원인(原因)과 직업재활 전략(戰略) , 고용에 대하여 쓴 글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내부 장애인 복지






다. 이하 같다) 2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신체주위의 일은 어느 정도 할 …(생략(省略))
순서
내부 장애인의 정의와 판정기준 및 내부장애인의 특성과 발생원인과 직업재활 전략, 고용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내부기관에는 폐 같은 호흡기관, 심장 같은 순환기관, 위장이나 췌장 같은 소화기관, 신장 같은 비뇨기관, 내분비기관 등이 있는데, 어떤 종류의 장기기능장애를 내부장애에 포함시킬 것인지에 대하여는 전문의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들의 견해 을 수렴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만성질환을 우선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심장병, 신장병외 간질 등 만성적 질병으로 인한 장애를 내부장애라 할 수 있으며, 장기의 종류에 따라 내부장애의 종류도 다양하다. 만성심장질환이나 만성신장질환 같은 것은 치료가 어렵고 일상적 활동에 많은 제약을 수반하므로 주요한 내부장애라고 할 수 있다
Ⅱ. 내부장애 판정기준
1. 심장장애 등급기준 규정 및 판정요령
< 장애등급기준규정 >
장애등급장 애 정 도1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안정시에도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 증상 등이 일어나서 운동능력을 완전히 상실하여 상시적으로 개호인이 필요한 사람 (심장질환을 진단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