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금속공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6:18
본문
Download : 한국의 금속공예.hwp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금속공예의 歷史(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금속공예기법에 조사한 data(資料)입니다.한국의금속공예0 , 한국의 금속공예기타레포트 ,
한국의 금속공예
레포트/기타
목 차
Ⅰ.서론................................... p.3
Ⅱ.본론................................... p.3~20
1.금속공예기법....................p.3~5
2.시대별 금속공예품..........p.5~20
1)선사시대........................p.5~6
2)삼국시대........................p.6~13
3)통일신라시대................p.13~16
4)고려시대........................p.16~19
5)조선시대........................p.19~20 Ⅲ.결론.................................. p.20
3)통일신라시대
(1)범종(梵鐘)
한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랜 종은 서기 725년에 이룩된 강원도 상원사(上院寺) 동종(銅鐘)이고, 가장 큰 종은 높이 3. 64m의 성덕대왕 신종(聖德大王神鐘)이다.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p198
한국에서 제작된 신라 이래의 종은 china(중국) 이나 일본의 종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양식을 …(skip)
설명
다.
,기타,레포트
한국의금속공예0
순서






Download : 한국의 금속공예.hwp( 95 )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금속공예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금속공예기법에 조사한 자료입니다. 상대 아래에는 네 구획의 유곽(乳廓)안에 각기 9개의 유두(乳頭)가 붙는다. 한국식의 동종은 통일신라시대에 뚜렷이 보이기 처음 하는데, 동종의 구성은 원추형의 몸체에 위를 잘라낸 듯한 상단에 천판이 놓이고 음통(音筒)과 꼭지[鈕]가 붙는다. 음통은 한국식 동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소리의 울림에 조화를 나타낸다는 견해도 있따 꼭지는 한 마리의 용이 몸을 비틀어 몸체를 올려서 고리를 매달게 되어 있따 원추형의 몸체 위쪽에는 상대(上帶)가 둘러싸고 아래쪽에는 하대(下帶)가 둘러싸며, 몸체 중간에는 당좌(撞座)가 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