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web.co.kr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實驗 > bitweb6 | bitweb.co.kr report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實驗 > bitweb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itweb6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實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9:12

본문




Download :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실험.hwp





점토 광물들이 세립질 흙 속에 존재할 때, 적당한 습기를 지니면 반죽하여 성형할 수 있다. 홈파기날은 두 가지 종류가 있으나 시료에 따라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처음에는 반죽이 너무 무르면 안되므로 예상 액성한계보다 작은 함수비로 반죽을 만들어 놓는다. 반죽된 시료는 젖은 헝겊으로 덮어서 일정한 시간(30분) 이상 방치하여 시료내의 함수비가 평형이 되도록 한다
순서

Download :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실험.hwp( 46 )




(1) 액성한계 측정기의 조정 : 액성한계 측정기의 손잡이를 돌렸을 때 놋쇠 접시가 1㎝ 높이가 되도록 캠(Cam)의 끝을 조절한다. 홈파기 날의 머리는 1㎝ 두께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이것을 컵과 판 사이에 끼워 조절나사를 조정하면 쉽게 조정할 수 있다아



액성한계는 흙이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최소의 함수비를 말하며 KS F2303 에서는 『황동접시에 경사 60°, 높이 1cm 의 인공사면을 조성한 후에 시료를 넣은 접시를 1cm의 높이에서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시켰을 때에 둘로 나뉜 부분의 흙이 양측으로부터 유동하여 약 1.5cm의 길이로 합류했을 때의 함수비』라고 定義(정이)되어 있다아 그러나 정확하게 25회를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여러번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로부터 25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역추적하여 액성한계를 구한다.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실험-6235_01.jpg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실험-6235_02_.jpg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실험-6235_03_.jpg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실험-6235_04_.jpg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실험-6235_05_.jpg
(3) 시험사면 조성 : 반죽한 흙을 황동접시에 담아 최대 두께가 약 1.0㎝ 되도록 스페출라로 잘 고른다. 이런 점착 특성은 점토입자 주위에 있는 흡착수에 기인한다.

다. 함수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는 흙은 마치 고체 덩어리 같이 거동하며, 매우 높은 함수비 상태에서는 액체와 같이 흐른다. 고체상태로부터 반고체 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수축한계, 반고체 상태로부터 소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소성한계, 소성상태로부터 액체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액성한계라 하며, 이들을 모두 합하여 Atterberg한계라 한다.




설명





(2) 시료준비 : 자연함수비의 약 40% 정도로 공기건조한 No.40체 통과시료 약 100g을 증류수를 살수하여 잘 혼합한다. 보통 황동접시를 분리하여 시험사면을 조성한 후에 결합하지만 시료가 연약한 경우에는 황동접시를 결합한 상태로 홈파기를 한다. 이런 점착 특성은 점토입자 주위에 있는 흡착수에 기인한다. 접시의 대칭축을 따라 홈파기 날을 수직으로 세워 홈을 한 번에 파서 접시 속의 흙을 양쪽으로 가른다. 액성한계는 세립토의 판별분류 및 工學(공학) 적 성질을 판단하는 데에 이용된다
토질역학 및 실습 - 액성소성 實驗

토질역학 및 실습,액성소성 실험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점토 광물들이 세립질 흙 속에 존재할 때, 적당한 습기를 지니면 반죽하여 성형할 수 있다. 함수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는 흙은 마치 고체 덩어리 같이 거동하며, 매우 높은 함수비 상태에서는 액체와 같이 흐른다. 이때에 여러 번에 걸쳐서 홈을 파면 흙이 다져지거나 흐트러질 염려가 있으므로 한번에 파야 한다 만일 시료가 양분되지 않으면 시험을 중단하고 NP(Nonplastic, 비소성)라고 기록한다. 고체상태로부터 반고체 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수축한계, 반고체 상태로부터 소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소성한계, 소성상태로부터 액체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액성한계라 하며, 이들을 모두 합하여 Atterberg한계라 한다.
전체 12,71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itweb.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