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文化(culture) 재 - 왕건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21:08
본문
Download : 북한의 문화재 - 왕건릉.hwp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
이 벽화를 통해 연지 곤지가 고려의 몽골 침입 이후 전래된 것이라는 속설도 수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북한의 왕건릉에서 출토된 문화재에 대해서 사진과 더불어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 북한의 문화재 - 왕건릉인문사회레포트 ,
다.
레포트/인문사회
북한의 文化(culture) 재 - 왕건릉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일월곤륜도 형상 관:
왕건릉에서 출토된 청동상의 관 부분. 맨 위의 해와 달 형상을 비롯, 전체적으로 일월곤륜도의 형상을 하고 있어 왕과 깊은 관련이 있음이 틀림없다고 현지를 조사한 학자들은 말했다.
곡예 구경하는 부부:
수산…(drop)
북한의 왕건릉에서 출토된 文化(culture) 재에 대해서 사진과 더불어 간략히 정리(整理) 했습니다. 벽화를 보호하기 위해 유리로 벽을 차단했다. 다들 좋은 리포트 쓰시길 바랍니다.
China 송나라 시대의 군왕 석조좌상.
왕건릉 출토 청동좌상.일인 학자들은 손을 모으고 있는 자세가 거의 같은 점을 들어 청동좌상의 주인이 왕건일 것으로 보고 있따
☞연지 곤지찍은 고구려미인:
북한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 고분 벽화의 여자인물도. 눈동자가 1천5백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있는 듯 생기있고, 연지 곤지와 옷깃의 붉은 색상이 선연하다.
Download : 북한의 문화재 - 왕건릉.hwp( 21 )
순서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시려는 분들에게 아무쪼록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왕건릉 내부:
왕건릉 내부. 왕건릉은 동양회화사연구에서 매우 귀중한 세한삼우(소나무 대나무 매화) 벽화가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관대 위에 왕릉 출토 유물의 모조품을 전시해 놓았다.
평양 인근 고구려 고분 벽화 중 그동안 국내에는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던 수산리 벽화 촬영은 이번 고구려회 학술조사단의 매우 중요한 성과다.관련 보고서를 작성하시려는 분들에게 아무쪼록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