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교육] 우리한글발음교육 / 우리 한글 발음 교육 1. 음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1:51본문
Download : 우리한글발음교육.hwp
예를 들어 신음소리나 의미 없는 소리는 음성이 아닌 것이다. 음성은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발음기관을 통하여 의사소통을 위해 의도적으로 내는 소리이다.
1. 음향과 음성
[사범교육] 우리한글발음교육 / 우리 한글 발음 교육 1. 음향
다.
1) 발동 기류의 생성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소리는 음향과 음성으로 나눌 수 있따 음향은 모든 소리, 즉 기계음 자연 음 동물의 소리까지 포함하고 있고 음성은 동물의 소리 중 사람소리를 지칭한다. 그러나 기류는 후두를 통과하면서 성대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어 말소리의 성격을 띠게 된다 후두에서 성대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기류 조정 작용을 발성이라 한다. 그러나 사람의 모든 소리를 말하지는 않는다.
우리 한글 발음 교육 1. 음향과 음성 소리는 음향과 음성으로 나... (참고 : 1page는 표지 입니다. 대부분의 말소리는 폐에서 발동되는데, 폐에서 발동된 기류는 공기의 흐름에 불과할 뿐 말소리의 성격은 띠지 않는다. 기류는 성대 위의 성도(소리 통로)를 통과하고 나서야 특정한 음가를 지닌 말소리가 된다 기류는 성도를 통과할 때 성도가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말소리의 음가가 결정된다 후두를 통과한 기류를 변형시켜 특정한 음가를 지닌 말소리로 만드는 발음 작용을 조음(articulation)이라 한다. 후두를 통과한 기류는 말소리의 기본 성격을 띠기는 하지만 특정 음가를 가진 말소리로 바뀌지는 않는다. 음향은 비 분절적이고 음성은 분절적이다. 우리 한글 발음 교육 1. 음향과 음성 소리는 음향과 음성으로 나... (참고 : 1page는 표지 입니다.)
사범교육 우리한글발음교육 / 우리 한글 발음 교육 1. 음향





3. 말소리의 생성 과정
순서
우리 한글 발음 교육
설명
이러한 세 부분 중 사람이 의식적으로 할 수 있는 곳은 발음부이다.)
2) 발성 ...
2. 발음 기관
Download : 우리한글발음교육.hwp( 64 )
발음 기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폐에서 올라오는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기관(숨관)까지를 발동부라 하고 두 개의 얇은 막으로 구성되어 있어 통과하는 공기를 진동시켜 진동에 의해 소리를 내는 발성부, 그리고 코안, 입술, 이, 잇몸 입천장 등 소리를 조절하는 발음부(조음(調音)부)이다. 소리를 내는 주체(발성체)가 누구냐에 따라 음향과 음성으로 나눌 수도 있따 이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초음파로 analysis(분석) 해보면 각각 다른 그래프가 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