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상 복제권에 대한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07:34
본문
Download : 복제권a.hwp
② 부분복제라도 그것이 저작물의 본질적인 부분을 재제작 한 것이면 복제권이 미친다.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복제권a.hwp( 61 )
복제권a



다.
Ⅱ. 복제의 요건
1. 저작물을 유형물에 고정하거나 유형물로 재 재작한 것
① 유형의 상태로의 고정내지는 재제작이라는 점에서 상연, 연주, 가창 ,연기, 상영 등의 무형의 태양으로 저작물을 이용하는 것과 다르다.
② 유형의 재제작이란 복제방법을 불문한다. 즉 복제권이란 저작자가 그 저작물의 복제에 대해 갖는 권리를 말한다.
저작권법상 복제권에 대한 법적 검토
복제권a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2. 저작물의 원상과 동일성이 있을 것
① 지엽적 부분에서 다소의 수정, 증감 등 변경이 있더라도 원저작물과 동일성이 있으면 복제이다.
3. 독자적인 작성이 아닐 것
복제는 원저작물의 존재 또는 그 내용을 알고도 그와 동일성 있는 유형물을 제작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저작물과 우연히 내용이 일치하거나 유사한 것을 작성하여도 독자적으로 작성한 것이면 복제가 아니다.
3. 법적 지위
저작재산권의 지분권 중 하나이며 이전, 행사, 소멸에 있어 저작재산권에 대한 일반규정이 적용된다된다. 창작적 개변을 요구하는 2차적 저작물과 구분된다된다.
③ 당해 부분이 본질적인가 검토는 구체적 표현형식의 독창성 등의 여부에서 결정할 것이며 사상과 아이디어는 저작권보호대상이 아니므로 대비하지 않는다.
2. 취지
저작권법에서 복제권을 인정하는 이유는 저작자의 정신적 소산인 저작물을 유형적으로 재조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여 저작권자의 경제적 이익을 보장하고 저작의욕을 고취하기 위함이다. , 저작권법상 복제권에 대한 법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복제권a
설명
복제권a,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저작권법상 복제권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1. 定義(정의)
저작권법상 “복제”는 인쇄·사진촬영·복사·녹음·녹화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유형물에 고정하거나 유형물로 다시 제작하는 것을 말하며, 건축물의 경우에는 그 건축을 위한 모형 또는 설계도서에 따라 이를 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정 법률은 ‘유형물에 고정하는 것을’ 복제의 定義(정의) 에 포함시켜 디지털 복제 定義(정의) 을 도입하였는데 이는 멀티미디어 環境 하에서 복제定義(정의) 을 명확히 하려는 취지이다.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