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고구려비 신석문(2000년 2월 26일) 결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3:18본문
Download : 중원고구려비 신석문(2000년 2월 26일) 결과.hwp
…(drop)
1. 최초의 탁본에서부터 최근 탁본까지 모두 모아 컴퓨터에 입력하여 비교 검토함으로 해서 그 동...
설명
레포트/기타
순서
%20%EA%B2%B0%EA%B3%BC_hwp_01.gif)
%20%EA%B2%B0%EA%B3%BC_hwp_02.gif)
%20%EA%B2%B0%EA%B3%BC_hwp_03.gif)
%20%EA%B2%B0%EA%B3%BC_hwp_04.gif)
%20%EA%B2%B0%EA%B3%BC_hwp_05.gif)
%20%EA%B2%B0%EA%B3%BC_hwp_06.gif)
,기타,레포트
Ⅰ.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1. 최초의 탁본에서부터 최근 탁본까지 모두 모아 컴퓨터에 입력하여 비교 검토함으로 해서 그 동... , 중원고구려비 신석문(2000년 2월 26일) 결과기타레포트 ,
Ⅰ.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
다. 이 적외선 사진은 국내에서 비문 판독에 처음 시도해 본 것으로 앞으로 기술적인 부분을 좀 더 보완한다면 더 좋은 效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비면 사진, 1979년 처음 탁본, 적외선 사진, 현장에서 탁본을 한 상태를 비면에 붙이고 찍은 사진 같은 다양한 資料를 한 화면에 나타내 비교해 봄으로 해서 과학적인 접근이 실제 資料 확인에 큰 效果를 보았다.
중원고구려비 신석문(2000년 2월 26일) 결과
Download : 중원고구려비 신석문(2000년 2월 26일) 결과.hwp( 84 )
Ⅰ.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
1. 최초의 탁본에서부터 최근 탁본까지 모두 모아 컴퓨터에 입력하여 비교 검토함으로 해서 그 동안 마모된 부분에 대한 부분을 놓치지 않고, 이전 탁본에서 빠트린 부분을 보완하는 效果를 보았다.(물탁본?)
6. 컴퓨터로 영상화한 화면의 명암을 거꾸로 뒤집어 작업하는 과정에서 마치 글씨를 쓴 것 같은 效果를 주어 석문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5. 비면 탁본 당시 비면에 종이를 바르고 물을 바른 뒤 두드리거나 먹으로 치기 전에 나타난 생김새를 사진으로 찍어 컴퓨터로 영상화한 결과 비의 미세한 부분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2. 적외선 사진을 통해서 마모가 심해 판독이 어려운 글자를 쉽게 알아보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받을 곳이 여러 곳 있었다.
4. 탁본을 비면에서 떼어내기 전에 찍은 사진이 글자의 요철을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크게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