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전통적 자연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21:39본문
Download :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hwp
그 중 우리가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환경(環境)’이다.
이러한 성장제일주의와 경제 개발의 명목 하에 자행되어 온 환경오염과 생태파괴는 그 原因을 서구에서 들어온 서구 근대 문명의 자연관과 자본주의적 모순에서 찾을 수 있따 베이컨(Francis Bacon)이 ‘지식은 힘이다’라고 선언함으로써 인간 삶의 풍요를 위해 자연을 정복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지식을 강조한 이후, 또 데카르트(R. Descartes)가 ‘생각하는 나의 존재의 확실성’을 선언함으로써 인식 주체(主體)와 인식 객체(客體)가 분리되고 주체인 인간이 대상인 자연을 일방적으로 이용(개발)할 수 있다는 생각을 낳게 한 이후, 서구의 자연관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왜곡(歪曲)하기 처음 하였다. 인간은 대자연의 한 부분으로서만 자기 존재를 파악할 수 있따 인간과 자연은 하나의 운명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하나의 유기적 생명체인 것이다.
하지만 인간과 자연은 원래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통(交通)하면서 응답(應答)하고 있는 동반자(同伴者)이다. ‘경제 발전’은 언제나 어떤 것보다도 앞서는 가치였고, 국토 개발과 건설이라는 구호가 그 뒤를 따랐다.
…(skip)
순서






동양의자연관
서구 자연관의 문제점과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을 추천하는 글입니다 열심히 준비한 자료입니다^^동양의자연관 ,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서구 자연관의 問題點과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을 추천하는 글입니다 열심히 준비한 자료(data)입니다^^
,자연과학,레포트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
레포트/자연과학
다.
동양의 산수화(山水畵)를 보면 거대하고 아름다운 자연의 한 귀퉁이에 인간의 모습은 늘 작게 그려져 있따 이것은 우리 조상들이 자연을 인간에 대하여 있는 하나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겸손하게 우리가 자연에 의지하여 함께 살아가야 할 전체로서 바라보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많은 것들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Download :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hwp( 17 )
0. 들어가며
- 서구 자연관의 결점과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 -
I. 도가(道家)의 자연관
도(道)와 자연(自然)
환경오염의 대안 - 도가의 생태학적 접근
II. 유가(儒家)의 자연관
- 한대(漢代) 경학(經學)을 중심으로 -
천인감응설(天人感應設)
재theory (災異論)
III. 나가며
지난 몇 십년간 우리는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가난을 떨쳐버리기 위해 앞만 보고 숨 가쁘게 달려온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보다 좋은’ 것을 ‘보다 많이’ 갖고자 했으며, 그 노력의 결과 이제는 세계가 인정할 정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어냈다. 이제 우리는 오늘날의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더 깊은 고민과 논의들을 통하여 인간 중심주의, 기계적 자연관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할 것이다.